한자위키
Advertisement

明나라(1368年- 1644年)은 中國의 歷代王朝의 하나이다. 明朝 或은 大明이라고도 稱했다.

朱元璋이 元나라를 北쪽에 쫓아서 建國해, 滅亡의 뒤에는 淸나라가 明나라의 再建을 目標로 하는 南明政權을 制壓해 中國을 支配했다.

歷史[]

朱元璋의 建國[]

몽골이 세운 元朝는 14 世紀에 들어가면 帝位의 相續紛爭이 일어나, 統治能力이 低下했다. 한層 더 疫災가 잇따랐기 때문에, 白蓮敎徒가 1351年에 紅巾의 亂을 일으키면 叛亂은 瞬息間에 퍼졌다. 紅巾軍의 한편의 將領인 貧農出身의 朱元璋(明太祖・洪武帝)은 南京을 根據로 長江流域의 統一에 成功해, 1368年에 明나라를 建國했다. 洪武帝는 建國하면 卽時 北伐을 始作해 元順帝(트곤・템르・하안)는 大都(北京)를 防弊하고 北쪽으로 避해 萬里長城以南의 中國은 明나라로 統一된다. 江南으로부터 태어난 王朝가 中國을 統一한 것은 明나라가 唯一하다.

洪武帝는 統一을 達成하면 外征을 抑制해 農村의 測量이나 人口의 調査를 進行시켜 里甲制衛所制를 펴, 內政의 安定에 힘을 쏟았다. 한편으로 洪武帝는 功臣을 肅淸해, 宰相에 該當하는 中書令을 廢止해 六部를 皇帝에 直屬시키는 皇帝獨裁體制를 쌓아 올렸다(仔細한 것은 胡藍의 獄을 參照).

1398年 洪武帝가 죽어서 明建文帝가 卽位하면, 建文帝의 叔父에 該當되는 各地의 皇太子는 皇室의 安定을 爲해서 排除되게 되었다. 北京을 中心으로 北方의 防備를 擔當하고 있던 洪武帝의 4男燕王은 쫓아서 結局 叛亂을 일으켰다. 1402年, 燕王은 首都 南京을 占領해 建文帝로부터 帝位를 纂奪해 스스로 皇帝에 卽位했다(靖難의 變). 이것이 明永樂帝이다. 永樂帝의 卽位에 依해, 政治의 中心은 다시 北京으로 옮겼다.

領土의 擴大[]

永樂帝는 北京에 遷都해 洪武帝의 愼重策을 再次 活潑히 勢力을 펼쳤다. 北쪽으로 물러난 元朝의 殘黨(北元, 明나라로는 이것을 타타르族이라고 불렀다)은 1388年에 트곤템르하안의 王統이 斷絶하고 있었지만, 永樂帝는 遠征에 依해 制壓했다. 滿洲에서는 女眞族을 服屬시켜 衛所制에 짜넣는 것에 成功했다. 南方에서는 越南陳朝內亂을 타 征服했다.

한層 더 海外의 東南아시아, 印度洋에까지 威信을 펼칠 수 있도록 鄭和에게 이끌린 大艦隊를 派遣해, 一部는 메카, 아프리카 東海岸까지 達하는 大遠征의 缺課, 多數의 나라들에 明나라와의 朝貢關係를 묶게 했다.

永樂帝의 死後, 몽골에의 遠征, 東南아시아에의 艦隊派遣은 中止되어 越南에서는 征服으로부터 不過 20年에 黎朝가 獨立했다. 그러나 永樂帝의 아들 明洪熙帝, 孫子 明宣德帝의 2代에 明나라는 國力이 充實해, 最盛期라고 評價된다(仁宣의 治).

北虜南倭의 危機[]

한편 요즘, 몽골高原에서는 西몽골의 오이라트가 힘을 길러 몽골을 制壓한 오이라트 族長 에센・하안은 明나라에 侵攻해 왔다. 1449年, 明英宗은 側近의 宦官王振이 推薦해로 오이라트에 親征을 實施했지만, 스스로 捕虜가 되는 大敗를 當했다(土木의 變).

에센・하안은 內紛으로 殺害當해 危機를 免했지만, 後에 歸還해 奪門의 變에서 復位한 英宗이래, 歷代의 皇帝는 紫禁城에서 나오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또 政治를 돌아보지 않는 皇帝도 많아, 國勢는 차츰 低調가 되었다. 또, 同時기 1448年, 小作人鄧茂七地主에게의 冬牲이나 小作人負擔에 依한 小作料運搬의 免除를 要求하고 叛亂을 일으켜, 鎭壓에는 成功했지만 最終的으로 叛徒는 數十萬名에 부풀어 오르고 있다.

16 世紀에 들어가면 倭寇中國人密貿易商人과 結合되어 活動을 始作해 沿岸部를 威脅하게 되었다(後期倭寇). 한層 더 몽골에서는 쿠비라이의 子孫으로 여겨지는 다얀・하안이 卽位해, 오이라트에 對抗해 몽골의 再統一을 完遂했다. 오르드스地方에 分封된 다얀・하안의 孫子 알탄・하안은 16 世紀中盤에 頻繁히 中國에 侵入해, 1550年에는 北京을 空位했다(庚戌의 變).

明나라를 괴롭힐 수 있던, 이 時代의 倭寇와 몽골을 竝稱해 「北虜南倭」라고 부른다.

明나라의 衰亡[]

1572年, 不過 10歲의 明萬曆帝가 卽位했다. 처음의 10年間은 內閣大學士張居正이 政權을 取해, 國政의 再建이 재어졌지만, 張居正의 死後親政이 始作되면 帝는 政治를 防弊했다. 在位는 48年에 이르지만, 途中 日本에 攻擊받은 朝鮮의 救援(壬辰倭亂)等의 支出이 늘어나, 財政이 破綻했다. 이러한 時局을 걱정한 人士가 無錫東林書院에 結集해 東林黨이라고 하는 政治集團이 만들어졌다. 以後, 東林黨과 反東林黨의 政爭이 일어난다. 萬曆帝의 死後도 明泰昌帝는 卽位後 곧 急死해, 明天啓帝는 寵臣의 宦官魏忠賢에 國政을 맡기는 等, 政況의 混亂이 繼續되었다. 魏忠賢에 依해서 東林書院은 閉鎖되어 東林黨의 人士도 投獄・殺害되었다.

天啓帝의 7年의 治世의 뒤, 明崇禎帝가 卽位했을 때에는 이미 明나라는 末期的症狀을 왔고라고 있었다. 한層 더 卽位後 곧 飢饉이 일어나, 叛亂이 잇따라, 한層 더 金軍의 侵攻도 激烈함을 늘렸다. 明將袁崇煥이 金軍을 막고 있었지만, 金나라(淸나라)의 혼타이지의 策略에 속힌 崇禎帝가 袁崇煥을 疑心해 慘殺하고 나서는 金軍을 抑制할 수 없게 되어, 더욱 流賊으로부터 擡頭한 李自成西安에 거는 大順을 稱해, 北京에 다가갔다. 1644年, 李自成軍의 包圍前에 崇禎帝는 自殺해, 滅亡했다.

同年, 淸나라가 李自成을 물리쳐 北京을 占領해, 中國支配를 宣言하면, 中國南部에 있던 明나라의 皇族과 官僚는 南明을 지어서 淸나라에 抵抗했지만, 雲南으로부터 버마에 逃亡친 明永曆帝를 마지막으로 滅해졌다. 福建에서도 鄭成功臺灣을 據點으로 抵抗했지만, 鄭氏政權은 後에 淸나라에 降伏하고 있다. 明나라의 遺臣으로서는, 이 버마(코칸族), 臺灣外, 廣東朝越南亡命해, 메콩 델타에의 植民으로서 活用된 사람等이 있다. 南明은 日本의 德川幕府에게 몇 番이나 援軍의 派遣이나 物資援助를 要請하고 있다. 御三家薩摩藩은 出兵에 對해서 내켜하는 마음이었다는 記錄이 있다. 日本側은 淸나라에의 앞, 公式으로 援助를 行할 수 할 수 없기 때문에 鄭氏의 交易利權(長崎貿易)을 默認하는 것에 依해서 間接的으로 援助했다.

1724年, 明나라의 大王朱彝의 孫子, 朱之璉淸雍正帝보다 一等延恩侯爵位를 下賜할 수 있어 以後는 그 子孫에게 明나라의 祭祀가 引繼되었다.

Advertisement